IP주소 지정: IP주소로 송수신 대상을 지정하는 것.
IP 단편화: 보낼 패킷이 MTU(최대전송 단위)보다 큰 경우 패킷을 여러개로 나누는 것.

식별자: 쪼개진 패킷이 어떤 메시지에서 왔는지 알려줌
플래그: DF:Don't Fragment 1일때 단편화 하지 말기, MF: More Fragment.1일때 단편화 패킷이 더있음.
단편화 오프셋: 첫데이터로부터 몇번째 떨어진 패킷인지 나타냄.
프로토콜 필드: 상위계층 프로토콜 알려줌 .TCP:6, UDP:17.
TTL:Time To Live 패킷의 수명, 라우터 거칠때마다(홉) 1씩 감소.
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: 동일네트워크상에서 IP주소를 통해 MAC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.
과정: 1.ARP요청. 2.ARP응답. 3.ARP테이블 갱신

라우팅 프로토콜: 라우터끼리 정보교환하며 패킷의 최적의 경로를 찾는 프로토콜.

게이트웨이: 다음으로 거쳐야할 호스트의 IP주소나 인터페이스.
인터페이스: 패킷을 내보낼 통로.
메트릭: 해당 경로로 이동하는데 드는 비용.
정적라우팅:사용자가 명령어를 통해 수동으로 관리 vs 동적라우팅: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 관리.
동적라우팅: IGP,EGP.
AS(Autonomous System): 한 회사나 단체에서 관리하는 라우터 집단
IGP(Interior Gateway Protocol): AS내부에서 수행되는 라우팅 프로토콜- RIP,OSPF
- RIP: 거리 기반, 즉 홉 수로 경로 찾음
- OSPF: AS를 area로 나누고 area마다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정보 저장. 대역폭 기준으로 경로 찾음
EGP(Exterior Gateway Protocol ):AS외부에서 수행되는 라우팅 프로토콜-BGP
-BGP:AS간의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. AS마다 BGP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라우터(피어) ASBR존재.
라우팅 할 때 라우터의 수가 아닌 AS의 수를 고려함, 메시지의 경로를 고려함.
p147 1번: IPv4의 대표적 기능은 IP주소 지정과 IP 단편화이다.
p187 2번: 라우팅 프로토콜 - AS내부: IGP /AS외부: EGP .거리벡터라우팅 프로토콜: RIP ,링크상태 라우팅 프로토콜: OSPF